정당 24개 넘게 ‘비례대표후보’ 내면 수작업 개표 불가피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여수개표소 모습. 

[평화나무 정병진 기자] 오는 21대 국회의원 선거(4.15 총선) 개표 때 비례대표 투표지의 경우 투표지분류기(전자개표기)를 사용할 수 없어 수작업 개표를 해야 하기에 개표 시간이 종전보다 크게 더 늘어날 전망이다. 

28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관위) 정당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더민주)과 자유한국당(한국당)을 비롯해 홍익당에 이르기까지 총 39개 정당이 등록돼 있다. 창당 준비위원회를 꾸려 창당 준비 중인 정당은 19개에 이른다. 

20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 후보를 낸 정당은 27개였는데, 오는 총선 때 비례대표 후보를 낼 것으로 보이는 정당은 적어도 40~50개 이상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형태로 선거법이 개정돼 소수 정당의 비례대표 진입이 더 용이해져 정당들이 우후죽순처럼 계속 느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많은 신생 정당이 생겨나자 ‘개표’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2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투표지분류기가 처리할 수 있는 정당 수는 24개인데 정당이 이미 30개가 넘는다"며 "등록 정당이 모두 후보자를 내는 건 아니지만, 아마 이번 총선 비례대표 개표에는 투표지분류기를 사용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밝혔다. 

선관위가 개표 때 사용하는 투표지분류기와 투표지심사계수기 같은 선거 장비가 처리할 수 있는 투표지 길이는 최대 34.9㎝로 알려져 있다.

2017년 대선 당시 계수기를 사용해 개표를 진행중이다. 

하지만 비례대표 후보자를 낸 정당이 40~50개 이상에 이르면 투표지 길이가 그만큼 길어지기에 투표지분류기, 투표지심사계수기 같은 장비로는 개표가 불가능해진다.

기존 투표지분류기와 심사계수기가 처리 가능한 길이 한계치를 개선하려면 새로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그럴 시간적 여유나 예산이 없는 실정이다. 

결국 투표지분류기와 투표지심사계수기는 지역구 후보자 개표에 사용하고, 나머지 비례대표후보자 개표의 경우는 전면 수작업으로 개표할 수밖에 없다. 투표지분류기는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에 처음 도입됐는데, 그 이전에 행하던 수작업 개표 방식으로 개표한다고 보면 된다. 

2014년형 투표지분류기의 1분당 처리 속도는 360~400매이다. 투표지심사계수기는 맨눈으로 확인 심사를 하게 하고자 1분당 150매 수준으로 맞춘 상태다. 하지만 수작업 개표를 하면 투표지분류기 운영부 단계가 없어지고 개함 이후 곧바로 심사집계부에서 수작업으로 분류와 계수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저작권자 © 평화나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