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 위 오른 오세훈 언론관

한국프레스센터에 내건 초대형 현수막.(사진 출처=오마이뉴스)
한국프레스센터에 내건 초대형 현수막.(사진 출처=오마이뉴스)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건물에 선거사무소를 두고 현수막을 내 건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의 언론관이 도마 위에 오르는 중이다. 

오세훈 후보 측은 지난달 프레스센터 건물 11층에 선거사무소를 얻고, 지난 14일 개소식을 열었다. 프레스센터는 한국기자협회와 한국방송관광진흥공사(코바코),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신문협회 등 언론단체가 대거 모여 있는 한국언론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건물이다. 

18일자 오마이뉴스 보도에 따르면, 프레스센터에 옥외광고물이나 플래카드 등을 걸기 위해서는 1~11층을 소유한 서울신문과 12~20층을 소유한 코바코와 한국언론재단 세 곳의 동의를 모두 얻어야 한다. 서울신문은 오세훈 후보의 현수막을 걸기 전 코바코와 언론재단 측에 공문을 보내 반대의견을 청취했으나 현수막을 허용했다. 

서울신문 관계자 "이전 전례대로 했을 뿐"

공적 자금으로 지어졌고, 여전히 공적 재원으로 운영되는 프레스센터 건물에 특정 후보 선거 캠프를 입주시켜 현수막까지 내걸리게 했다는 점에서 서울신문 역시 비판을 피하지 못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신문 사업개발팀 관계자는 “선거 캠프가 입주해 있는 상황에서 현수막 게시는 우리가 어쩔 도리가 없는 문제”라고 답했다. 선거사무소 건물에는 현수막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것. 게다가 일반 옥외광고물과 달리 선거법상 후보 홍보 현수막은 사이즈 규정도 없는 상태다. 

‘애초에 선거캠프 입주를 거부했으면 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전례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전에도 전례가 있었기 때문에 거부할 근거가 없었다는 얘기였다. 

실제로 서울신문은 이전에도 2010년 오세훈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김영숙 서울시 교육감 예비후보, 2011년 나경원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에게 선거사무소를 임대해 준 적이 있다. 모두 이명박 정권 당시였다. 

이에 ‘과거에도 전례가 있었다면, 선거 캠프를 입주시키면 현수막이 내걸릴 것이란 것을 인지하지 않았나’라고 묻자, “과거 사례를 근거로 했을 뿐”이라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입주비용을 받고 특정 선거 캠프를 받아 준 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어느 후보가 들어오건 그게 문제가 아니라 임대해줄 뿐”이라고 했다. ‘임대비용을 밝혀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밝힐 수는 없다”고 했다. 

‘서울신문과 선거사무소 계약을 하기 위해 경쟁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장사한다는 얘기를 들을 수도 있지 않겠나’라고 묻자, “선거 캠프가 들어와서 민감한 게 아니라, 어떤 곳이든 임대료를 밝히는 곳은 없다”며 동문서답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계도지, 서울신문이 가장 큰 비중 차지 
언론 관계자 "공적 판단 능력 없는 오세훈, 자본에 굴종하는 서울신문" 

프레스센터에 선거사무소를 둔 오세훈 후보의 언론관도 도마 위에 오르는 모습이다. 더구나 오세훈 후보는 최근 ‘TBS의 교육방송 개편 방향을 구상 중’이라고 발언해 논란이다. 

평화나무가 ‘선거사무소 입주를 희망하는 오세훈 후보 측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다’는 서울신문 관계자에게 ‘혹시 오 후보가 당선되면 어떤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도 생각하신 것이냐’라고 묻자, “그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서울 25개 자치구는 해마다 100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구매한 신문을 통반장에게 지급하고 있다. 박정희 정권이 1970년 정부에 유리한 여론 조성을 위해 지역의 통장과 반장들에게 나눠주기 시작한 계도지 배포가 주민홍보, 시책홍보란 명분으로 관행처럼 이어지는 셈이다. 이 같은 이른바 계도지 형태로 배포되는 신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신문이 바로 서울신문이다. 서울시와 서울신문간의 이해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서울신문 대주주가 지난해 호반건설로 바뀐 후 자본에 더 굴종적으로 가는 행태 아니겠다는 비판도 나온다. 지난해 호반건설이 서울신문의 대주주가 되면서 호반건설 관련 비판 기사를 대거 삭제하는 등, 건설사의 언론사 사유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거론됐다. 

익명을 요구한 한 언론 관계자는 “언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건물에 서울시장 후보가 선거사무소를 입주하고 현수막을 내거는 건, 공적인 판단 능력이 부족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프레스센터에 십수개 언론단체가 입주해 있는데도 서울신문이 특정 후보의 선거사무소 입주를 허용하고 현수막이 걸리도록 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신청을 받아줄 수밖에 없었던 것은 변명이다. 단기적으로 받게 될 큰 액수의 임대료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서울신문 한 현직 기자는 "민간기업에 서울신문을 넘겨줄 때 다 예견됐던 것 아니냐"며 자포자기하는 듯한 심경을 토로했다. 

저작권자 © 평화나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