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MBC 스트레이트가 13일 ‘네이버 성공의 비밀-알고리즘 조작’편을 방송했다. 2012년 네이버가 오픈마켓 시장에서 직접 뛰어들면서 경쟁쇼핑 사이트보다 자사 스토어 상품을 상단에 노출되도록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특혜를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공정거리위원회가 네이버에 독과점 사업자의 지위를 남용해 불공정한 행위를 했다며 과징금 265억원을 부과했으나, 네이버는 반발하는 모양새라고도 설명했다. 그러면서 빅데이터 업체에 에뢰해 11월 30일부터 12월 6일까지 일주일간 PC버전을 대상으로 네이버 뉴스를 조사한 결과 점유율은 중앙일보(15.7%), 연합뉴스(15.1%). 조선일보(7.9%) 순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뒤로 세계일보(5.8%), 한국경제신문(5.3%)가 뒤를 이었다. 참고로 네이버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는 75개사다. 그런데 중앙일보와 연합뉴스, 조선일보 세 언론사의 일주일간 기사 비중이 40%에 육박했고, 상위 5개 언론사가 대부분 보수 신문으로 분류된다는 점을 짚었다. 스트레이트는 같은 방식으로 다음의 뉴스홈도 조사한 결과, 일주일간 점유율은 세계일보(8.0%), 뉴시스(7.5%), 머니투데이(7.4%)·연합뉴스(7.4%)의 순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스트레이트는 해당 조사 결과를 설명하면서, 네이버보다 덜하지만 다음도 소수 언론사 편중 현상이 심하다고 지적했다. 

포털 보수 편향성 논란, 다음마저? 

포털의 보수적 뉴스편집 지적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특히 네이버 포털의 메인 화면을 채우는 뉴스 콘텐츠에는 유독 보수성향 신문 배열이 많다는 얘기는 끊이질 않았다. 게다가 다음까지. 뉴스 소비자들은 다음의 변화 이유로 다음카카오가 2018년부터 보수 매체 기자들을 대거 영입한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해 왔다. 

2018년 11월 14일 한겨레 보도에 따르면, 카카오는 당시 언론사 기자 출신을 대거 영입해 홍보와 대외협력 기능을 강화했다. 조선일보 정치부장을 지낸 권대열 논설위원을 커뮤니케이션실장(부사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임원기 전 한국경제신문 기자를 커뮤니케이션실 팀장(상무)으로 발령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카카오가 최근 들어서만 기자 출신 10여명을 영입했거나 영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안다”고 했다. 카카오가 당시 택시 업계와 전면전을 벌이면서 충돌하고,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이자 이사회 의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곤욕을 치른 것도 배경으로 꼽혔다. 

당시 카카오 관계자는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거나 기존 사업을 강화할 때마다 기득권 내지 기존 규제와 충돌을 빚고 있다. 사회와 소통하고 때로는 설득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어 관련 조직과 인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뉴스 소비자들의 주장이 마냥 과하다고 하기도 어려워 보인다. 그러나 카카오측은 해당 주장을 전면 부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14일 ‘쩌날리즘’과 통화에서 “언론사 기자 등을 영입한 것과 뉴스편집 원칙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며 “회사마다 각자 개발한 알고리즘을 쓰는 것인데, 우리도 네이버의 알고리즘을 알 수다. 다만, 저희 알고리즘 방식에 대해서는 온라인이나 여러 콘텐츠를 통해 공개하고 있고, 알고리즘에 있어서 특정 매체 노출 여부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보고, 열심히 보는 뉴스를 추천해 주는 것인데 그 기사가 노출이 됐다면, 그 기사가 사람들이 많이 보는 뉴스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알고리즘 윤리 헌장을 자사 홈페이지에 명시하고 있다. 카카오는 알고리즘과 관련된 모든 노력을 우리 사회 윤리 안에서 다하며, 이를 통해 인류의 편익과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알고리즘 결과에서 의도적인 사회적 차별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한다는 내용 등이 담겨 있다. 카카오가 자사 조직과 인력 강화를 위해 영입한 보수 매체 언론인들의 영향력이 발휘되는 것이라면, 자사 홈페이지에 명시한 윤리 헌장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물론 카카오측의 주장을 그대로 믿더라도 포털이 스스로 제휴 언론을 심사하고 평가해서 받아들일지 받지 않을 지를 결정하는 것도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심사의 공정성에도 꾸준히 의문이 제기된다. 포털 사업자들은 이같은 지적은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겠으나, 레거시 미디어들은 아무리 가짜뉴스를 내고 공론장을 어지럽혀도 퇴출 걱정이 없는 반면, 소수자,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언론은 포털 메인에서 보이지도 않는 상황이라면 포털이 언론과 제휴 과정에서 얼마나 다양한 여론 형성을 위해 애썼는지 돌아봐야 할 것이다. 

이제 포털은 언론사의 자리까지 넘보는 실정이다.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는 직접 기사를 생산하지 않고 매개체에 불과한 만큼 그 자체를 언론에 포함시키는 것은 무리겠으나, 시사인의 ‘2020년 대한민국 신뢰도 조사 실시’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리 국민이 가장 신뢰하는 언론 매체는 1위 유튜브, 2위 네이버로 나타났다. 

또 지난 2017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조사한 결과에서도 우리 국민의 56%는 포털을 언론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포털사업자는 방송통신관련 법령상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또는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로 분류돼 공적 책무에서는 벗어나 있는 실정이다. 포털이 여론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행사하고 언론을 활용해 막대한 광고수익도 벌어들이는 데다 소비자들이 포털사이트를 언론으로 인식한다면, 포털에 대한 사회적 책임도 따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평화나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